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Kafka
- gradle
- Redis
- Cluster
- 젠킨스
- 설정
- 간단
- 로그인
- config
- vue
- 자바
- fastcampus
- Docker
- 레디스
- login
- spring
- Jenkins
- SpringBoot
- 자동
- 머신러닝
- 예제
- Zeppelin
- aws
- Mac
- 클러스터
- ec2
- java
- EMR
- redash
- hive
- Today
- Total
목록2025/04 (3)
코알못

🌱 재귀함수에 대해서 알아보자!재귀함수란, 자기 자신을 다시 호출하는 함수를 말한다.말 그대로, 함수가 자기 자신을 반복적으로 부르는 구조라고 할 수 있다!재귀를 사용하면 코드를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고,특히 반복적인 구조나 문제를 잘게 쪼개는 상황에서 유용하게 쓰인다.📌 재귀함수는 언제 고려해야할까?재귀함수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고려해볼 수 있다반복적인 계산 구조일 때탐색 범위를 계속 줄여야 할 때🚨 재귀함수의 핵심: 탈출 조건!재귀함수를 사용할 때 가장 중요한 건 탈출 조건이다!자기 자신을 계속 부르다 보면 무한 루프에 빠질 수 있기 때문에,어디선가 반드시 멈춰야 한다.이걸 탈출 조건이라고 한다.팩토리얼 예제로 재귀를 이해해보자!팩토리얼은 1부터 N까지의 정수를 모두 곱한 값을 말한다.3!이..

탐색에 대해서 알아보자!데이터 속에서 원하는 값을 찾는 대표적인 방법에는순차 탐색(Sequential search)과 이진 탐색(Binary search)이라는 방식이 있다.이 둘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그리고 이진 탐색은 왜 더 빠르다고 할까?지금부터 함께 알아보자!순차 탐색(Sequential search)이란?순차 탐색은 말 그대로 데이터를 앞에서부터 하나씩 차례대로 확인해보는 방법이다.리스트의 첫 번째 인덱스부터 시작해서,찾고자 하는 값이 나올 때까지 계속 다음 값을 확인해나간다.👉 즉, 모든 데이터를 순서대로 검사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시간 복잡도는?O(N)데이터가 100개 있다면, 최악의 경우 100번을 다 확인해야 한다.데이터가 많아질수록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다.이진 탐색(Bin..

시간/공간 복잡도란?시간 복잡도는 알고리즘이 실행되는데 걸리는 시간/사용되는 공간을 수학적으로 표현한 개념입니다. 입력 크기 N이 커질수록 얼마나 많은 연산이 수행되는지를 알려주기 때문에, 알고리즘의 성능 비교에 유용 합니다.시간 복잡도 계산법📌 예제 코드로 살펴보기아래 코드는 리스트 안에서 가장 큰 숫자를 찾는 간단한 함수입니다:def find_max_num(array): for number in array: is_max_num = True for compare_number in array: if number 이 코드를 기준으로, 각 부분이 얼마나 많은 연산을 수행하는지 분석해보겠습니다.🔍 안쪽의 is_max_num = False 까지 걸리는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