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fastcampus
- spring
- ec2
- 클러스터
- 자동
- 간단
- Kafka
- 자바
- SpringBoot
- aws
- 레디스
- 설정
- Mac
- 머신러닝
- vue
- Jenkins
- Docker
- redash
- hive
- gradle
- Redis
- EMR
- Cluster
- 예제
- 로그인
- Zeppelin
- config
- 젠킨스
- login
- java
- Today
- Total
목록테스트 (2)
코알못

AWS 하둡인 EMR 에는 오토 스케일링이라는 기능이 있다. 이는 하둡에는 없는 기능이며 AWS 에서 제공하는 기능으로 클라우드 서비스에 맞게 서버를 자동으로 스케일링 해주는 기능이다. 쉽게 말하자면 서버를 필요할때 서버를 늘려주고 필요없을때 반납해주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하둡을 평상시에 사용안하다가 필요한 상황이 생기면 그때 기존 서버수 보다 더 투입하여 빠르게 처리하고 안쓸때 반납하는 기능이다. 오토 스케일링은 클러스터 구성시에도 가능하고 클러스터 구성후에도 설정 가능하며 실습을 진행해보자! 클러스터 생성시에 고급 설정을 들어간뒤, 2단계 하드웨어 설정에 있다. 현재 core 노드 3대, task 노드 3대로 총 6대의 노드 매니저가 작업을 진행할 것이다. 클러스터 스케일링중 EMR 관리자에 의한 ..

이전 글에서 [5분 안에 구축하는 Redis(레디스)] 레디스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Redis Sentinel 에 대해 알아 봅시다! Redis Sentinel 은 장애 발생시 운영 서비스에 영향 없도록(=고가용성) 레디스 마스터 모니터링 및 자동 장애 극복 조치 (=Fail-over) 해주는 서비스 입니다. 아래와 같은 아키텍쳐로 구성 합니다. 위와 같은 아키텍쳐로 구성시 한대 서버 장애가 나도 정상적인 운영이 가능합니다. 장애 감지시 sentinel 끼리 투표를 하는데 일정 투표수(=쿼럼::quorum) 이상이 장애 서버라고 동의하면 fail over 작업을(마스터 승격) 진행합니다 (쿼럼이 3일시, fail over 불가) 만약, 죽은 서버를 복구하여 서비스 투입시 아래와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