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알못
[CKA] 쿠버네티스 설치 없이 웹에서 이용 본문
Docker에서 제공해주는 Play with Kubernetes 가 있으며 4시간 동안 Master, worker node 직접 구성한뒤 사용 가능하다.
아래 사이트에 접속한뒤
https://labs.play-with-k8s.com/
Play with Kubernetes
Play with Kubernetes is a labs site provided by Docker and created by Tutorius. Play with Kubernetes is a playground which allows users to run K8s clusters in a matter of seconds. It gives the experience of having a free Alpine Linux Virtual Machine in bro
labs.play-with-k8s.com
아래와 같이 화면이 나오며 Start 버튼을 누르면 4시간이 나오며 Add New Instance 버튼을 눌러 인스턴스를 생성한다.
누르면 아래와 같이 콘솔 창에 방법이 나오며 방법대로 콘솔에 입력하여 진행해보자!
우선 [1] 마스터 노드를 셋팅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 kubeadm init --apiserver-advertise-address $(hostname -i) --pod-network-cidr 10.5.0.0/16
명령어 입력시 마스터 노드에 API, Controller , schduler, etcd, coreDNS 를 설치한다.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나오는데 이는 Worker 노드 구성하는 명령어로
New Instance 를 눌러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위 명령어를 입력하여 워커노드를 셋팅한다.
이제 마스터 노드에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클러스터 노드 현황을 확인한다. (-o wide -> 확장하여 추가 내용 확인)
$ kubectl get node -o wide
쿠버 버전은 1.27.2가 설치 되었고 8번 IP는 Control plane 으로 Master 노드이며, 7번은 Worker Node 임을 알 수 있다.
만약 마스터 노드에서 CNI(컨테이너 네트워크) 설정도 필요하다고 하면 Master 노드에 콘솔창에 나온 셋팅 방법 [2]를 수행하면 된다.
$ kubectl apply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cloudnativelabs/kube-router/master/daemonset/kubeadm-kuberouter.yaml
끝!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KA] K8S 직접 설치 (Cloud X) - 03 (1) | 2023.08.10 |
---|---|
[CKA] K8S 직접 설치 (Cloud X) - 02 (0) | 2023.08.10 |
[CKA] 쿠버네티스 소개 (0) | 2023.08.10 |
[CKA] K8S 직접 설치 (Cloud X) - 01 (0) | 2023.08.06 |
[EKS] 클러스터 권한이 없어서 안보일때 (0) | 2023.06.25 |